본문 바로가기

computer_science5

복습2 ----1---- 지수 백오프 지수 백오프는 네트워크 상에서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때, 재시도 간격을 늘려가며 재시도를 수행하는 알고리즘 보통 최초 재시도는 비교적 빠른 간격으로 수행하고, 만약 재시도가 여전히 실패하면 재시도 간격을 지수적으로 증가시켜 더 큰 간격으로 재시도를 수행하게 한다. 모든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재시도를 한다면, 서버는 한꺼번에 많은 요청을 처리해야 하므로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재시도 폭주'라고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수 백오프가 필요 재시도의 재시도가 실패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재시도와 재시도 간격은 얼마나 해야할까?", "재시도가 계속 실패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 이진 트리 자식 노드가 최대 두 개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 2024. 3. 30.
복습 멀티스레딩 : 여러 개의 스레드를 병행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원 데드락 : 여러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하는 상태 메모리 누수 :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현상 P.S. react에서 useEffect에서 메모리 누수를 위해 클린업 함수를 사용해야한다고 했었음. 난 클린업 함수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지 못했었고 몇가지 예시를 보고 알았음. 클린업 하는 방법은 useEffect안에서 return을 하고 실행되길 원하는 함수를 작성하면 된다. 클린업 함수 사용 예시) 1. Socket 베이스 실시간 채팅에서 사용자가 방을 떠났을 때 클린업 함수를 이용해서 Socket disconnect하.. 2024. 3. 28.
네트워크 (OSI7계층, TCP/IP) 네트워크 : 정보가 전송되는 경로 글로벌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통신 장비(LAN 장비 , WAN 장비)가 필요 LAN :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 WAN : LAN사이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한 광역 네트워크 ex) sk,skt,u+가 WAN을 이용하여 광역 네트워크를 서비스함.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상에서 서버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는 장비 ex) 컴퓨터,핸드폰,아이패드 서버 :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 ex) 공유기 , 도메인 관리기,게이트웨이 OSI7계층 탄생 배경 : 네트워크 규칙이 없었을 때에는 난장판이었음.컴퓨터 간 네트워킹을 할때 다양한 프로토콜과 표준이 혼재됨 계층화 : 기능에 필요한 몇 개의 계층만 표준화하면 통신 가능 현재 네트워크는 TCP/IP 프로토콜로 이루어짐 5계층으로 이루어짐.. 2024. 3. 26.
computer science 2일차 (프로세스) 1.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보조 기억장치 :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곳 주 기억장치 : 프로그램이 로딩되는 곳 프로세스 : 프로그램이 실행해주는 주체 쓰레드 : 작업을 처리해주는 주체 OS(Operation System) 2. 프로세스 상태 신규 : 프로세스가 이제 막 메인메모리에 올라온 상태.수용(admit)을 거쳐야 준비 단계로 넘어감 준비 : 수 초기화 등 기초 준비작업을 모두 끝나고 실행을 할 수 있는 상태. 아래의 케이스를 통해 준비상태가 됨. 신규 프로세스가 수용됨 대기 프로세스의 이벤트가 완료됨 수행 프로세스가 중단됨 수행 : CPU가 실제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 아래의 케이스를 통해 수행상태가 해제됨. CPU의 과부하가 판단되는 경우 (준비상태로 돌아감) I/O 나 event w.. 2024. 3. 20.
computer science 1일차 (CPU,메모리) 1. CPU CPU 구성요소 1. ALU :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 2. CU : 스케쥴을 제어하는 역할 3. 메모리 유닛 레지스터 : 처리할 명령어를 저장 캐시 메모리(L1) : 처리속도를 높여주는 역할 2. 메모리 메모리 구성요소 레지스터(CPU), 캐시메모리,메인 메모리(주 기억장치) , 하드디스크(보조 기억장치) 레지스터(CPU) (CPU에서의 레지스터는 L1 캐리메모리입니다. 메모리에서의 레지스터는 L2,L3 캐리메모리입니다. 서로 다릅니다.) L2,L3 캐시메모리 vs CPU 레지스터 L2, L3 **캐시메모리**는 CPU와 별도의 공간이며, 메인 메모리와 CPU 간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 CPU **레지스터**는 CPU안에서 연산을 처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캐시메모리.. 2024. 3. 19.